포항

검색
  • 0
닫기

한센인 '피와 눈물'의 상징 경주 희망농원 '40년 만에 날개짓'

0

- +

권익위·경북도·경주시·포항시·환경청 희망농원 환경개선 '조정' 합의
내년부터 희망농원 생활환경 개선 추진

경주 희망농원 전경. 무허가 건물로 방치되면서 모든 건물들이 40년 전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사진=경주시 제공)

 

정부의 강압적인 한센인 집단 이주 이후 40년 이상 무허가상태로 방치됐던 경북 경주 '희망농원'에 대한 환경개선사업이 이뤄진다.

지난 1959년 정부는 경주시 성건동 성락원에 있던 한센인 60여명을 자활목적의 국가정책사업을 명목으로 현재의 보문단지 경주CC로 옮겼다. 이어 1961년에는 칠곡군에 있던 애생원 소속 한센인 200여명도 함께 이동하면서 '희망촌'으로 이름을 바꿨다.

당시 정부는 한센인들의 자활을 위해 이들을 이주시켰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사회로부터의 격리를 위한 강제이주였다.

하지만 '희망촌' 한센인들은 또 다시 강제 이주를 경험한다. 1979년 보문관광단지가 개발되면서 이들은 터전을 뺏기고 천북면 신당리로 이전한 것이다.
노후화 돈 계사 모습(사진=경주시 제공)

 


정부는 이들의 생계를 돕겠다며 450동의 집단계사와 115동의 주택 및 창고를 지어줬다. 경북지역 한센인들의 보금자리인 '천북 희망농원'이 조성된 것이다.

하지만 당초 약속과는 달리 건물에 대한 등기는 이뤄지지 않았다. 이로 인해 희망농원의 모든 건물은 폐 슬레이트가 건물 위에 얹어진 40년 전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무허가 건물에 대한 재건축 등은 허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기초환경시설도 매우 열악해 각종 분뇨는 제대로 처리되지 못하면서 일대는 악취가 진동을 하고 있고, 각종 해충이 들끓으면서 주민들의 삶은 더욱 피폐해졌다.

특히 장마나 태풍 등이 오면 계사의 분뇨와 생활하수가 포항과 경주시민의 젖줄인 형상강으로 그대로 흘러들어가 각종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전현희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 주낙영 경주시장, 이강덕 포항시장, 주대영 대구지방환경청장 등이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사진=경주시 제공)

 


경북도와 경주시 등은 1988년부터 희망농원 정주여건 개선을 수차례 추진했지만 복잡하게 얽힌 이해관계와 관계부처 간의 충돌, 법적 근거 부족 등으로 한걸음도 나가지 못했다.

강제이주를 당한 한센인들의 피와 눈물이 묻어 있는 '희망농원'의 생활환경 개선사업이 이주 41년 만에 이뤄진다.

국민권익위원회원와 경북도, 경주시, 포항시, 대구지방환경청은 28일 경주시청에서 권익위원회 주관의 기관조정 회의를 갖고 법적효력이 있는 '조정'에 서명한 것이다.

이날 조정서에는 전현희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 주낙영 경주시장, 이강덕 포항시장, 주대영 대구지방환경청장, 희망농원 대표가 서명했다.

 


합의에 따라 경주시는 노후 집단계사 및 폐슬레이트 철거, 노후 침전조·하수관거 정비, 노후 주택정비, 일자리 및 농가소득 창출 기반 마련, 한센 요양원 등 복지시설·생태공원 등 주민편익 공간조성을 포함한 종합정비계획을 단계적으로 수립·추진한다.

이를 위해 내년 상반기까지 기본정비계획을 수립하고 공론화를 통해 관계기관 역할조정과 국비 210억원을 중앙부처가 지원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로 했다.

경북도도 희망농원 내 시설개선 사업이 원만히 추진될 수 있도록 예산지원 등에 힘을 쏟는다. 포항시는 노후 침전조와 하수관거 재정비 등을 통해 형산강 수질오염 개선을, 대구지방환경청은 하수관거 정비사업 관련 국비 예산을 확보해 우선 지원하도록 협조하기로 했다.

전현희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은 "40년 전 정부의 강압적인 집단 이주 이후 제대로 된 처우를 받지 못한 채 고통 받으신 희망농원 주민들에게 정부를 대표해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제라도 따뜻한 보금자리가 될 수 있도록 힘을 쏟겠다"고 약속했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40여 년 간 방치된 경주의 오랜 숙원이 드디어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다"면서 "관계기관과 긴밀한 협의를 통해 조정안을 차질 없이 추진해 주민들에게 희망을 주는 공간으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추천기사

스페셜 이슈

많이 본 뉴스